회사라는 곳에서 일을 하다보면 실수도하고 어떤 문제 원인에 대한 대책과 분석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 특히 품질과 관련된 문제일수록 5why 기법의 보고 양식이나 레포트 작성은 필수적인데요, 오늘은 이 5 why 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슨무슨 기법이다~ 해가지고 사실 처음 접하고 다루기 거부감이 들 수도 있습니다. 사실 별거는 아닙니다. 어떤 현상, 문제에 대해 5가지의 why 를 스스로 질문하여 해당 원인의 Route cause (근본 원인)을 찾는 방법 입니다.
꼭 5가지 여야만 하나....? 그것은 아니지만 5가지 why 안에 대부분의 근본원인이 도출되고, 그 이상으로 가면 너무 원초적이고 비현실적인 원인 탐색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해당 정도는 문제발생 크기나 스스로 생각하기에 적절한 why 수를 정하여 ppt나 레포트를 작성하시면 됩니다.
서론이 다소 길었는데요, 밑에 예시를 보면 이해가 한번에 가실거라 생각됩니다.
자동차 공장에서 작업자가 다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라 가정해 보겠습니다.
- Example
problem : 특정 공정에서 작업자가 다친 상황 발생
why1) 왜 작업자가 다쳤는가?
anr1) A라는 기계를 사용하다가 기계 오작동 발생
why2) 기계가 오작동한 이유는 무엇인가?
anr2) 평소에 주기적인 관리를 해야 하지만 되지않았다.
why3) 왜 주기적인 관리가 되지 않았는가?
anr3) 형식상 관리였고, 실제로 관리자가 체크하지 못한 B라는 항목이 있었다. B라는 항목은 윤활유 작업이 되지 않았다고 가정.
why4) 왜 관리자의 misoperation이 발생하는가 ?
anr4) 한 사람이 특정공정만 관리하는 것이 아닌, 여러공정을 관리하기 때문에
사실상 여기서 why 기법은 끝낼 수 있습니다. anwer4에 대한 해결책이 결국 문제원인의 재발을 방지하고, 회사차원에서 인력손실이나 손해를 줄이는 방법이 되겠습니다.
예시로, "공정마다 인원1명을 개개로 할당한다" 등의 해결방안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회사입장에서 사람증원은 돈이 들기 때문에, 같은 부서나 특정인원의 double check로 현실적인 방안을 세우거나 시스템적인 차원에서 굉장히 크리티컬한 문제이고 자주 발생하는 경우, 검사장비나 자동화 시스템 등을 만들 수도 있는 것이지요.
사실 why 기법을 하다보면, 결국 '실수'라는 결론이 많이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실수'를 줄이고 공장이나 회사 운영을 안정화 시키는 것이 결국 목표이기 때문에 why 기법을 통한 근본원인을 찾아감으로서 인지하지 못했던 위험성이나 창의적인 해결방안을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기법을 사용하고 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아래 산업 안전보건에서 정리한 자주 발생하는 산업재해에 대해 모아 놓은 항목들이 있으니, 해당 항목들을 보면서 관련산업에 종사하거나 why 기법을 해보면 도움이 될만 한 것들을 사용해 보시는 것도 좋을 거 같습니다.
5why 기법과 유사한 'Fishbone diagram' 도 알아두면 도움이 되니, 참고 부탁 드리면서
이상 5why 기법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자신만의 flow chart 를 만들어 해보시길 꼭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